★ 지식인 사랑/참고자료실

[스크랩] 월급 250만원으로 1년에 2,000만원 모으기

갓생지인 2008. 7. 29. 08:08
  • 월급 250만원으로 1년에 2,000만원 모으기
  • 월급 250만원으로 1년에 2,000만원 모으기(실제 사례를 통한 개인 재테크 실천전략) 머니닥터 : 서기수 (모네타 수석연구원) 필자의 수강생중에 L씨는 현재 미혼인 직장인 이다. 그는 20대 후반이지만 아직 자기 급여 관리나 자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고 관심도 없다가 결혼을 1년 앞두고 필자에게 자산관리를 의뢰했다. 월급여(실수령액) 250만으로 1년에 2,000만원 모으고자 상담을 의뢰해왔다. 이에 L씨의 사례를 통해서 저금리시대의 재테크 투자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월 급여: 250만원저축현황: 매달 근로자 우대 적금 50만씩 불입( 2002년 가입 올해12월 3년만기)월 지출: 고정적으로 100만원 지출( 카드비..교통비..핸드폰비 등등)현금은 50만원 정도 지출부채 : 없음금융상품 가입( 장기주택마련 저축 or 청약통장 or 적립식 펀드.. 등등): 없음보험료 : 보험 미가입목돈 : 1,000만원 (금융자산- 대략 2,000만원)L씨의 자산관리를 시작하려고 하니 너무 아쉬웠다. 좀더 일찍 자산관리에 관심을 가졌어도 지금보다 훨씬 많은 자산을 모아놨지 않았을까 라는 아쉬움이 컸다.그럼 지금부터 L씨의 소득만으로 1년에 2,000만원 모으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하겠다연봉은 대략 3200만이고 실수령액은 연 3000만원 이다목표: 1년 안에 결혼자금 2,000만원 마련하기1) 당장 상호저축 은행에 가서 월 100만 적금 가입하기- 왜 하필이면 상호저축인가?: 왜냐하면 제1금융권인 ( 국민, 신한, 우리, 하나..등등 시중은행) 은행보다 제2금융권인 상호저축은행은 제1금융권보다 이율이 1~2% 높은 금리혜택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 좀더 많은 금리를 주는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건 당연한거 아닌가.. 3%대 금리의 적금과 5%대 금리의 적금이 있는데 무엇으로 가입하겠는가?당연히 5%대의 적금에 가입하고 만기 시 보다 많은 이자를 받으면 얼마나 뿌듯할까 생각해 보라.상호저축은행이 파산이나 영업정지등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들은 걱정 안하셔도 된다. 예금자 보호법에 원리금합산 5,000만원까지 보호가 되므로 설상 파산이나 영업정지를 당해도 원리금합산 5,000만원까지 보호 받을수 있다.그러므로 5000만원 이상 상호저축은행에 예금되어 있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혹은 가족명의로 분산 예치하면 된다. 이것도 찝찝하면 원리금합산 5,000만원이므로 이자를 감안한 원금기준으로 약 4,500만원정도만 적금이나 부금의 만기금액을 맞추면 된다.최근의 시중금리가 상승세에 있기 때문에 가입기간은 만기를 길게 잡지 말고 1년 만기로 가입한 후 1년후의 금리동향에 따라서 투자수단을 갈아타는 전략을 세워야한다.아울러 상호저축은행의 안정성을 알기위해서는 상호저축은행 중앙회의 홈페이지(www.fsb.or.kr)를 방문해서 경영공시란을 보면 전국의 상호저축은행별 자산규모,부채규모,BIS비율등의 안정성을 알...더보기
출처 : Daum 신지식
글쓴이 : 봉커스님 원글보기
메모 :